지난 7일 발효된 미국의 15% 상호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팔을 걷어붙였다.
코트라(KOTRA, 사장 강경성)와 관세청(청장 이명구)은 13일 서울 염곡동 KOTRA 본사에서 ‘미국 통상정책 대응 관세실무 설명회’를 열고, 수출기업 지원에 본격 나섰다. 행사에는 중소·중견기업 226개사가 사전 신청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코트라와 관세청은 13일 서울 염곡동 코트라 본사에서 ‘미국 통상정책 대응 관세실무 설명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강상엽 코트라 부사장 겸 중소중견기업본부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코트라]
이번 설명회는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현황 △미국 관세 행정 동향과 수출기업 유의사항 △비특혜 원산지 판정 기준 및 사례 등 실무 중심의 정보를 제공했다. 관세청과 한국원산지정보원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최신 정보를 공유했으며, 미국 현지 관세 전문가 3명도 온라인으로 연결돼 현장감 있는 조언을 전했다.
사전 신청한 82개사에는 15명의 관세 전문가가 1대1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했다. 컨설팅 내용은 원산지 판정 기준, 미국 세관 사전심사제도 활용법, 기업별 관세율 검토, 대체시장 진출 전략 등으로 구성됐다.
코트라와 관세청은 이번 서울 설명회를 시작으로 8~9월 전국 12개 지역에서 ‘지역 수출기업을 위한 통상환경 대응 전략 설명회 및 상담회’를 공동 개최한다. 지방 중소·중견기업에도 최신 관세 정보를 제공하고, 맞춤형 컨설팅으로 수출 전략 수립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최근 미국 법무부가 원산지 위반·관세 회피에 대한 조사와 제재를 강화하는 상황을 반영해, 수출 리스크 관리 역량을 높이는 프로그램도 포함했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미국 관세정책 변화 속에서도 우리 기업이 안정적으로 수출을 이어가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KOTRA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을 발굴·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도 “신속·정확한 정보 제공은 물론, 관세 부담 완화와 대체시장 발굴, 생산거점 이전 등 해법 마련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