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이승윤 기자]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일본 도쿄를 방문해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현장경영에 나섰다.


이재현 CJ그룹 회장, 일본 현장경영으로 글로벌 전략 모색이재현(오른쪽에서 두번째) CJ그룹 회장이 지난 2일 일본 도쿄 CJ 일본지역본부에 방문해 현지 관계자들과 담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CJ그룹]

CJ그룹은 이재현 회장이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일본 도쿄를 방문했다고 9일 밝혔다.


이 회장과 함께 김홍기 CJ주식회사 대표, 이석준 CJ 미래경영연구원장, 윤상현 CJ ENM 대표가 동행했다.


이 회장은 일본지역본부를 방문해 사업 성과를 점검했다. 일본의 한류 열풍은 K컬처 글로벌 확산의 결정적인 기회이기에 비비고, 콘텐츠 등 일본 사업들이 준비해야 한다고 전했다. 현지화와 글로벌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해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 시장으로 수요를 넓혀 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도약할 것을 당부했다. 또 현장 및 화상으로 참석한 경영진들에게 신사업기회를 발굴하고 로컬 파트너들과 협력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또 사사키 다카시 TBS홀딩스 회장, 아베 류지로 사장 등 TBS그룹 주요 경영진을 만나 양사의 파트너십을 재확인하고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오카후지 마사히로 이토추상사 회장, 이마이 세이지 미즈호 파이낸셜그룹 회장, 카토 마사히코 미즈호 은행장과 회동하며 사업 협력 분야를 논의하고 신사업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일본 경제와 통화/금융의 최고 전문가인 호시 다케오 도쿄대 교수 등 한일 양국 문화콘텐츠 전문가를 만나 경제환경과 트렌드 변화에 따른 그룹 사업 확대 기회를 모색했다.


최근 일본에서 기존 한류 열풍을 뛰어넘는 K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과거 한류가 K콘텐츠와 K팝 중심이었다면 지금은 식품·뷰티·패션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됐다. 팬덤 활동을 뜻하는 '오시카츠' 기반 소비문화가 전 연령대로 퍼지며 K컬처 영향력이 커졌고 2030세대가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로컬 파트너십을 통한 현지화 전략이 한국 기업에게 새로운 글로벌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CJ그룹은 일본에서 식품·엔터테인먼트·뷰티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만두와 김밥 등 간편식 제품을 육성하고 있다. CJ ENM은 2019년 일본 합작법인 '라포네'를 설립하고 휴먼 IP기획·플랫폼·매니지먼트를 아우르는 MCS(음악 기반 IP 생태 시스템)를 구축했다. JO1(제이오원), INI(아이엔아이) 등 라포네 소속 아티스트의 성공을 바탕으로 K팝의 현지화를 이뤄냈다. 현지에서 KCON과 MAMA AWARDS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며 KPOP 팬들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CJ올리브영은 지난해 일본과 미국을 글로벌 진출 우선 전략국가로 선정하고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자체 브랜드의 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늘리고 글로벌몰 인지도를 높이는 등 온오프라인 전방위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일본에서 K트렌드가 K-콘텐츠를 넘어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어, CJ그룹의 글로벌 전략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lsy@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4-09 17:10:0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삼성SDS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기획·시리즈더보기
4차산업혁명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