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유입을 막기 위해 해양수산부와 극지연구소가 남극·북극 등 극지에 있는 연구기관 관계자의 외부 접촉을 전면 통제하는 등 강력대응에 나서고 있다.
1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남극에 있는 세종과학기지와 장보고과학기지는 지난 3월부터 외부인 방문을 전면 통제하고 있다. 주변 기지와의 접촉도 금지됐다. 같은달 초 기지의 관문도시인 칠레 푼타아레나스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취한 조치다.
해수부 관계자는 “남극과 북극 등 극지는 고립돼 있기 때문에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고 여겨질 수 있지만, 거꾸로 1명라도 감염된다면 걷잡을 수 없이 위험한 상황에 이를 수 있어 비상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 전경. [사진=더밸류뉴스(해양수산부 제공)]
노르웨이령 스발바르 군도에 있는 북극 다산과학기지도 사황은 비슷하다. 코로나19가 확산세를 이어감에 따라 하계연구활동을 전면 중단했다. 연구활동이 하계에 주로 진행되는 만큼 올해 연구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보급 일정도 줄줄이 연기되고 있다. 세종과학기지의 경우 4월 예정이던 보급 일정을 9월 이후로 연기하고, 비축 물자를 사용해 활동을 이어 나가기로 했다. 장보고과학기지는 기지 대원과 보급선 승무원 간 물리적 접촉을 하지 않고 화물 하역작업을 진행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극지 연구기관들이 방역복·마스크·소독제 등의 방역용품을 충분히 구비해 감염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의 극지 유입을 막기 위해 국제사회의 협력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3월 말 아이슬란드에서 개최할 예정이던 북극연구 분야의 최대 국제행사인 ‘북극과학최고회의’는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오는 7월 호주 호바트에서 개최할 예정이던 남극 연구 분야에서 가장 규모가 큰 ‘남극연구위원회’ 대규모 학술행사도 전면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유은원 해수부 해양개발과장은 “극지를 코로나19 청정지역으로 지켜기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