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화학소재기업의 규모와 수익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하위권 수준으로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 한국경제연구원이 글로벌 화학소재기업 5379개사를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OECD 국가 28개국 중 한국의 화학소재기업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30조7000억원, 17조6000억원으로 미국과 일본에 이어 3위를 차지했지만, 기업 1개사당 매출액은 2486억원, 영업이익은 189억원으로 각각 18위, 2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본관 입구.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이외에 성장성을 나타내는 매출액증가율은 7.9%로 20위, 수익성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6%로 21위에 불과해 경영실적지표 역시 하위권을 면치 못했다.
한경연은 이러한 한국 화학소재기업 부진에 대한 원인으로 영세성을 꼽으며 국내 화학소재산업 내 기업 수가 과도하게 많고 기업 당 종업원 수는 적은 구조적 취약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한국 화학소재기업 수는 928개로 OECD 국가 중 2위이고, 3위 일본보다 2.6배, 9위 미국보다 8.6배 많았다. 반면, 기업별 종업원 수는 1025명으로 25개국 중 22위를 기록했다.
2018년 OECD국가별 화학소재산업 매출액 및 영업이익. [사진=한국경제연구원]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글로벌 공급 네트워크의 교란이 상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서, 국내 화학소재 기업의 영세성은 우리 경제의 큰 약점이다"며 "성장 가능성 있는 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해 몸집을 키우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서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